포켓 슬롯 퀘스트 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보살입상
금동보살입상
조각
작품
백제시대의 보살상.
이칭
이칭
부여 규암면 출토 금동보살입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포켓 슬롯 퀘스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백제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10.2㎝.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1959년에 부여군 규암면 신리 중뜸마을 뒷산에서 금동불좌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전면에 도금이 남아 있지 않으나 세부 표현이 정교한 전형적인 백제불로서, 광배와 함께 주조되었다.

머리 위에는 세 송이 꽃모양의 삼면관(三面冠)을 썼고 양쪽 귀에 장식적인 머리칼이 길게 늘어져 있다. 넓적한 얼굴에 비해 이목구비는 작은 편으로, 두 뺨이 팽창되었고 입가에는 엷은 미소가 서려 있다. 목에는 짧은 목걸이를 음각하였으며, 법의는 두터워 몸의 굴곡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옷자락은 여러 단의 고기 지느러미처럼 좌우대칭으로 연속되어 대좌 근처까지 늘어져 있고 천의자락은 몸 앞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었다. 오른손은 여원인(與願印), 왼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맺어 일반적인 통인(通印)과는 다른 형식인데, 모두 끝의 두 손가락을 구부리고 있다.

간략하게 표현한 발 밑에 단판(單瓣)의 연꽃대좌를 마련하였으며, 머리 위의 보주형(寶珠形)의 광배는 두 줄 음각선으로 원을 돌리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간단한 화염문을 표현하였다.

이 보살상은 부여 군수리에서 출토된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보물, 1963년 지정)과 거의 비슷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는데, 군수리상에 비하여 하체의 표현이 평면적이고 부조적(浮彫的)인 성격이 강하다. 양식적으로는 중국의 북위(北魏) 및 동위(東魏)포켓 슬롯 퀘스트의 불상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조성시기는 6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삼국포켓 슬롯 퀘스트불교조각론(三國時代佛敎彫刻論)』(강우방, 국립중앙박물관, 1990)
『포켓 슬롯 퀘스트(韓國)의 불상(佛像)』(진홍섭, 일지사, 1976)
「부여규암면출토백제불보살상(扶餘窺巖面出土百濟佛菩薩像)」(황수영, 『미술자료』8, 국립중앙박물관, 1963)
관련 포켓 슬롯 퀘스트 (1)
집필자
곽동석(국립중앙박물관, 조각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포켓 슬롯 퀘스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포켓 슬롯 퀘스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포켓 슬롯 퀘스트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포켓 슬롯 퀘스트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