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구정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구정유고
구정유고
유교
문헌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남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남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상·하 2권 1책. 활자본. 1675년(숙종 1)과 1689년에 슬롯 스 캐터의 11대손 학명(鶴鳴)·용익(龍翼) 등에 의하여 편집되었으나 간인(刊印)하지 못하고 산일(散佚)되었던 것을 슬롯 스 캐터의 20대손 일우(一祐)가 1869년(고종 6)에 재편집, 간행한 것이다. 끝에 학명·용익·일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상권에 슬롯 스 캐터의 시 13수, 소 2편이 있을 뿐이고, 나머지는 슬롯 스 캐터의 세계·연보·유사(遺事),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집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소(疏) 2편 중에서 1392년(태조 1) 슬롯 스 캐터가 대사헌으로 있을 때 올린 「시무소(時務疏)」는 조야(朝野)의 상황과 풍속·민심,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담고 있어 당시의 사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연보는 슬롯 스 캐터 개인의 사적이라기보다 고려 말기의 국가 상황에서부터 정몽주(鄭夢周)와 정도전(鄭道傳)·조준(趙浚)·남은(南誾) 등에 관련된 기사, 위화도회군에 관한 기사들이 들어 있어서 당시의 정치 상황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추강냉화(秋江冷話)』
『청파극담(靑坡劇談)』
『약천집(藥泉集)』
관련 슬롯 스 캐터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스 캐터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