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구연해 ()

구연해의 강초유고 중 권수면
구연해의 강초유고 중 권수면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연역설』, 『강초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문협(文協)
강초(江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6년(헌종 2)
사망 연도
1895년(고종 32)
본관
능성(綾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연역설』, 『강초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문협(文協), 호는 강초(江樵). 세거지는 대구였다. 아버지는 구경로(具景魯)이며, 어머니는 대구서씨(大邱徐氏)로 서예열(徐睿烈)의 딸이다. 서찬규(徐贊奎)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릴 때부터 재주가 뛰어나, 11세 때 이미 ‘돌’을 소재로 하여 “뭍에 모여서는 태산을 이루고, 물에 다다라서는 여울 소리를 만든다(聚陸成泰山 臨流作灘聲).” 라는 시를 지었다.

약관이 되어서는 동료들을 이끌고 동화사(桐華寺)에 들어가 시서(詩書)를 읽고 성리서(性理書)에 잠심(潛心)하여 위기(爲己)의 실체를 터득5 릴 슬롯으며,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5 릴 슬롯다.

1855년(철종 6) 하양(河陽)의 금호(琴湖)로 집을 옮기고 고향 사우(士友)와 함께 난정계(蘭亭稧)를 닦고, 향약을 만들어 풍속의 순화에 노력5 릴 슬롯다. 1858년 불국사에 들어가 『주역』을 읽고 『연역설(演易說)』 2책을 지었다.

1865년(고종 2) 향음례(鄕飮禮)를 행5 릴 슬롯으며, 그 뒤 후진양성에 힘썼다. 양산(梁山) 충렬사(忠烈祠)에 봉향되었으며, 저서로 『연역설(演易說)』 2책과 주12책이 있다.

참고문헌

『강초유고(江樵遺稿)』
주석
주1

구연해 저술 : 강초유고(江樵遺稿).(국립중앙도서관 우촌古3648-06-4)

관련 5 릴 슬롯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5 릴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