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1년(광해군 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과 이정(李禎)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6년(숙종 2)에 ‘구계’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램 슬롯으로 승격되었으며, 1714년에 김덕함(金德諴)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흥선대원군의 램 슬롯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된 뒤 서당으로 사용해오다가, 광복 후 유림들에 의하여 다시 복원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묘우(廟宇), 신문(神門), 4칸의 강당(講堂), 2칸의 주소(廚所), 3칸의 고자처(庫子處), 외문(外門) 등이 있다.
강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으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을 토론하는 장소로 램 슬롯되어왔으나, 지금은 향사 때에 유생들의 숙소로 이용되고 있다. 주소는 향사 때 제수를 마련하여두는 곳이며, 고자처는 고자의 식구가 생활하는 곳이다.
이 램 슬롯은 1983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3월 중정(中丁)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제품(祭品)은 4변(籩) 4두(豆)이며, 재산으로는 전답 2,000여 평, 임야 1.5정보, 대지 7백 평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