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화의 아들 박종경(朴鍾慶)이 편집한 것을 1966년 박재화의 손자 박남순(朴南淳)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재성(宋在晟)의 서문과 권말에 박남순의 발문이 있다.
3권 1책. 석인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1·2에 시 134수, 서(書) 16편, 잡저 2편, 기(記) 1편, 제문 1편, 권3에 부록으로 만사 36수, 뇌문(誄文) 1편, 제문 5편, 행장·묘갈명·유사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상연재송선생문목(上淵齋宋先生問目)」은 송병선(宋秉璿)에게 보낸 문목으로, 『중용』의 희로애락과 『예기』의 칠정(七情) 및 무극(無極)·태극(太極) 등 주로 성리학적 관심사에 관해 질문한 것이다. 「여운파조후(與雲坡趙侯)」는 군수 조병유(趙秉瑜)에게 통화마카오 슬롯 머신 종류의 개선을 건의한 것으로, 각 지방마다 사용하는 화폐의 종류가 달라 민생에 막심한 피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청개시정오조(請改時政五條)」는 1894년(고종 31) 순찰사에게 정치마카오 슬롯 머신 종류의 개선을 건의한 것으로, 법률·경제·전정(田政)·교육·군사 등에 걸친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가운데 경제에 관해서는 역시 통화마카오 슬롯 머신 종류의 문란을 지적하고 이의 개선대책을 건의하고 있으며, 한편 국방과 치안의 문제점을 들어 병력증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청개시의십조(請改時宜十條)」도 광범위한 마카오 슬롯 머신 종류의 개선을 요구한 내용이다.
이 문집은 조선 말기의 정치·경제·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