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 엔트 슬롯 관음예문례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을 대상으로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예경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관세음보살을 대상으로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예경의식.
내용

이 넷 엔트 슬롯이 언제부터 행하여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중기에 간행된 『범음집(梵音集)』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부터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절차는 관세음보살에게 의지하겠다는 신념을 밝히는 거불(擧佛)을 시작으로 하여 관세음보살을 넷 엔트 슬롯도량에 초청하는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과 청사(請詞)를 행하며, 이어서 관세음보살의 특징을 하나하나 들추어 그에 귀의하는 예를 갖추고, 넷 엔트 슬롯도량에 강림하여 자비를 베풀어 주기를 발원한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참회진언을 외우면서 예경하여 참회의 뜻이 굳건함을 밝히고, 지극한 마음으로 발원(發願)한 뒤에 넷 엔트 슬롯을 마친다.

즉, 이 넷 엔트 슬롯은 관세음보살을 초청하여 그 덕을 찬탄하고, 관세음보살의 힘을 입어 스스로를 참회하며, 관세음보살의 보살핌을 입게 되기를 발원하는 것으로 끝맺는데, 우리나라 관음신앙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넷 엔트 슬롯이다.

참고문헌

『범음집(梵音集)』
『석문의범(釋門儀範)』
『청관세음넷 엔트 슬롯소복독해다라니삼매의(請觀世音菩薩消伏毒害陀羅尼三昧儀)』 (『대정신수대장경』 46권)
집필자
홍윤식(동국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넷 엔트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넷 엔트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넷 엔트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