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27.5㎝, 가로 69.5㎝. 지는 해를 보고 서쪽에 넷 엔트 슬롯 넷 엔트 슬롯을 생각함으로써 마음을 통일하여 물을 관찰하면 삼매(三昧)를 얻어 비로소 넷 엔트 슬롯여래( 넷 엔트 슬롯불)의 넷 엔트 슬롯정토를 보게 된다는 1관∼13관과, 임종 때 지심으로 '나무넷 엔트 슬롯불'을 외우면 면죄받아서 극락왕생한다는 14관∼16관이 묘사된 관경십육관변상도에 염불왕생을 강조하는 선을 타고 극락왕생하는 용선접인(龍船接引)이 결합된 불화이다.
넷 엔트 슬롯극락회(阿彌陀極樂會) ·9품(九品) 연못 · 서방9품용선접인왕생 장면의 삼단 구성은 일반적인 관경십육관변상도와는 다른 형식으로서, 염불왕생의 의미가 극대화된 것이다. 이 불화는 이러한 형식의 관경십육관변상도 중 가장 연대가 올라간다.
불화의 상단부는 테라스(Terrace : 壇)의 넷 엔트 슬롯여래삼존좌상을 중심으로 6보살상이 배치된 넷 엔트 슬롯극락회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설법하는 정면 넷 엔트 슬롯불좌상 앞에는 공양보살상이 있는 반면, 좌우에 배치된 측면 넷 엔트 슬롯여래좌상 앞에는 합장하고 예배드리는 인물상이 꿇어앉아 있다.
최상단부에는 다리가 셋 달린 까마귀가 표현된 붉은 해[제1일상관] 주변으로, 타방보살(他方菩薩)과 비천(飛天) · 꽃 · 악기들이 떠다니고 있다. 중단부인 9품 연못의 좌우에 묘사된 전각에 선정인(禪定印 :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모은 손 모양)을 한 넷 엔트 슬롯여래와 관음보살이 측면을 향해 앉아 있다. 이들은 각기 중품(中品)인 15관과 하품(下品)인 16관의 왕생자를 맞이한다.
구품 연못의 중앙에는 정면 넷 엔트 슬롯여래좌상을 마주 보는 자세로, 등을 보인 14관의 상품(上品) 왕생자가 있다. 비구(比丘)의 모습은 중품 왕생자이며, 관음보살 앞에 엎드린 벌거벗은 동자상(童子像)은 하품 왕생자로 추정된다.
생전에 행한 선업에 따라 상 · 중 · 하로 등급이 나뉘어져 순서대로 염불왕생하는 9품 연못과 넷 엔트 슬롯극락회가 열리는 상단부의 테라스를 연결하는 계단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8보살과 춤추는 2보살이 부각되어 있다.
하단부는 넷 엔트 슬롯여래입상 앞에 합장하고 엎드린 인물상 아래, 넷 엔트 슬롯여래와 인로왕보살 및 왕생자들을 태운 용선이 극락의 9품 연못에 도착하는 용선접인 장면이 나타나 있다. 용선의 뒤쪽에 보이는 육지에는 무릎을 꿇고 허리를 굽혀 합장하는 네 명의 인물이 떠나가는 용선을 바라보고 있는데, 극락과 구분된 세속을 암시하며 극락으로 향하는 용선은 이 두 공간을 연결하는 것처럼 보인다.
상단부의 정면 넷 엔트 슬롯여래는 낮은 팔각연화대좌에 앉은 자세로, 엄지와 중지를 맞댄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배 앞에 두었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 편단(右肩偏袒)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입은 넷 엔트 슬롯여래의 머리에는 중앙 계주(中央髻珠)가 있으며 가슴에는 卍자가 나타나 있다.
짙은 갈색 바탕에 적색과 녹색이 주조색이며 흰색과 황색, 검은색이 혼용되었다. 어두운 채색때문에 풍부하게 사용된 금니(金泥)가 돋보인다. 1관∼16관의 구성 요소 및 불상의 형태, 채색법 등에서 15세기 넷 엔트 슬롯십육관변상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