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민굿·제면굿·제민굿’이라고도 한다. 무조(巫祖)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를 모시는 이 거리(굿)는 무가의 내용에서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가 단골네들을 찾아다니며 걸립(乞粒 : 동냥)하는 것으로 보아 단골들을 위한 굿으로 여겨진다.
‘플레이 텍 슬롯’이라는 말은 무당조상 또는 무당을 상징하고 있는 것으로 보지만, 무당의 단골구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것은 무당이 새신(賽神)을 위하여 단골네들을 찾아다니면서 집주인의 행운과 집안의 태평을 빌어주고 돈이나 곡식을 얻는 걸립을 ‘플레이 텍 슬롯놀이’라 하고, 또 처음 무당이 되는 직접적인 행동으로서 강신자(降神者)가 내림굿을 하기 전에 마을을 돌면서(7집이나 21집) 신점을 쳐주고 걸립하는 것을 ‘플레이 텍 슬롯돌기’, ‘플레이 텍 슬롯놀이’라 하고, 이 때의 무녀를 ‘플레이 텍 슬롯각시’라 하며, 굿이 끝나고 구경꾼에게 나누어주는 떡을 ‘플레이 텍 슬롯떡’이라고 하는 점 등에서 그러하다.
플레이 텍 슬롯굿의 진행은 쾌자를 입고 부채를 든 차림의 무녀가 청배무가(請陪巫歌 : 신령이나 혼령을 불러 모시는 무당의 노래)를 부르고 이어서 공수, 유흥적인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놀이를 한다.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는 아이를 열 셋이나 낳은 다산녀(多産女)로 등장, 굿하는 흉내를 내고 관중들에게 복떡 또는 명떡이라고 하는 플레이 텍 슬롯떡을 나누어준다.
플레이 텍 슬롯굿 무가(巫歌)는 현재 세 편이 채록되어 있는데, 채록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그 내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라도 전주 땅(또는 지리산) 김 정승댁에서 외동딸을 낳아 잘 길러 서울 이 정승댁으로 출가를 시켰다. 시집온 지 3년이 못되어 시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지관이 묏자리를 잡아주면서 “이 묘를 쓰고 3년이 되거든 다른 자리로 옮겨야지 그렇지 않으면 해가 온다.”고 하였으나 옮기지 않았다. 4년 절기가 돌아오니까 이 정승 며느리가 갑자기 병이 들어 시름시름 앓더니 아무리 약을 써도 낫지를 않고 실성하여 헛소리를 하였다.
그 때 그 마을 사공이 아들을 잃어버렸는데 이 정승 며느리가 사공의 아들이 있는 곳을 알아 맞추었다(또는 앞집의 잃어버린 혼수용 패물을 찾아주기도 한다.). 그러자 이 정승 집안에서는 “양반가문에 쌍놈이 났다.”고 하여 가두어놓고 굶겨서 말려 죽이려고 하였다.
이러할 즈음에 집안에서는 곳간에 불이 나고 가축이 죽는 등, 그 집안에 신(神)이 나느라고 재난이 잇달아 결국 망하고 말았다. 시집에서 쫓겨난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이 정승 며느리)는 산간벽지라든지 명산대천에 들어가 공을 드린 뒤 점도 잘 치고 굿도 잘 하여 먹고사는 것은 풍족하였으나, 신(神)을 이기지 못하여 집에 있지 못하고 동냥(걸립)을 하러 다녀야 하였다.
이즈음에 삼씨를 받아 길쌈을 가는데, 욕심 많고 심술 많은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는 며느리에게는 불에 달달 볶은 삼씨를 주고 딸에게는 온전한 삼씨를 주었으나 삼씨가 바뀌고 말았다.
며느리의 삼이 무럭무럭 자라 베를 짜서 놓으니 모두 속곳(속옷)을 만들어 달라고 하고, 남은 베는 ‘두 귀 나는 전대와 네 귀 나는 자루’를 만들어 달라고 하였다.
자루와 전대를 메고 단골집을 돌아다니는데,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를 박대한 단골들 집안에는 주언(呪言)을 하여 화를 주고, 신심 깊은 단골을 만나 대접을 잘 받고 얻어온 쌀로는 그저 먹을 수 없다 하여 플레이 텍 슬롯떡을 빚었다.
떡을 놓고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와 며느리가 서로 많이 차지하려고 다툰 끝에, 며느리가 화가 나 물 길러간 사이 부뚜막에 얹어놓은 며느리의 떡을 청삽살이가 먹어버렸다. 화가 난 며느리는 개를 때려죽이고 껍데기를 벗겨 장구를 만들었다. 이 장구소리로 인하여 천하무당·지하무당이 나오고 굿하는 법이 생겼다고 한다.
이 무가는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가 무당조상이 된 내력담으로, 무조신화(巫祖神話)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장구와 굿하는 법의 유래담적 성격도 지니고 있다. 또한,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의 출신집안이 양반 정승가문으로 나타나고, ‘정승가문에 무녀가 나는 법’이라는 무가의 내용으로 보아 ‘정승가문에 보살 난다.’는 속담과도 관련이 있다.
여기서 ‘신화가 어떤 집단의 정신적 상황을 표출한 가장 원초적 표현’이라고 볼 때, 이를 통하여 천민으로 멸시의 대상이 되었던 플레이 텍 슬롯의 신분적 갈등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삽화처럼 들어간 “며느리 삼씨는 죽으라고 달달 볶아주고 딸의 삼씨는 온전한 것을 준다.”는 부분이나 그 밖의 내용에서의 플레이 텍 슬롯할머니의 심술은 영등할머니의 심술과도 유사하며, 이를 통하여 전통사회의 고부간의 갈등도 보여주고 있다.